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<br>Q1. 한동훈 대표 취임 후 일주일도 안 됐습니다. 그런데 벌써 이 정책위의장로 예민한 모습이에요. 왜 이걸로 이렇게 붙는 거에요? <br><br>당무 전반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최고위원회 구성을 누가 가져가느냐가 핵심입니다. <br><br>현재 구도는 정점식 정책위의장까지 친윤이 5명, 한동훈 대표를 비롯해 곧 임명될 지명직 최고위원까지 친한이 4명입니다. <br> <br>친한 입장에서는 과반을 못 차지한 구도죠. <br> <br>그런데 정 의장을 교체하면 이 구도가 역전되는 겁니다. <br> <br>만장일치가 아니면 다수결, 숫자싸움이기 때문이 이 구도가 중요한 겁니다.<br><br>Q2. 취임 다음날 만찬까지 하고, 당정이 화기애애한 모습 보였잖아요. 그런데도 이런 구도 싸움이 중요한 겁니까? <br><br>양 쪽 이야기를 들어보고 정리를 좀 해보면, 잘 지내기로 한 건 맞는데, 서로를 향한 '의심'이랄까요. <br> <br>묘한 시선을 서로 거두지 않는 분위기입니다. <br><br>친윤계에선 어떻게든 친한 우위의 최고위를 만드려는 시도라며 "벌써 대통령과 각 세울 채비를 하는 것 아니냐"고 하고, 친한계에선 "정 의장을 계속 두겠단 건 옛날처럼 당을 용산과 친윤이 휘두르겠다는 거냐"고 하더라고요.<br> <br>결국 만찬으로 대표되는 허니문 기간은 끝나고, 이번 인선이 실제 한동훈 체제에서 당정관계가 어떻게 가는지 판단하게 될 가늠자가 될거란 이야기가 나옵니다. <br><br>Q3. 실질적으로 그럼 이 정책위의장을 바꿀 수 있는 거냐. 이게 중요한 거 아닌가요. <br><br>당헌이라고, 이게 일종의 당의 헌법 같은 건데, 서로 이 당헌을 근거로 삼아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. <br><br>한 대표 측에선 당헌 25조, "당 대표는 당직자 인사 임면권을 가진다"는 조항을 듭니다. <br> <br>새로운 당대표가 당직자 임명도 하고 또 면직도 하는 권한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반면 친윤계 또 추경호 원내대표 측은 당헌 68조를 강조합니다. <br> <br>"정책위 의장 임기는 1년으로 한다" 이 조항을 지켜야한다는 겁니다.<br> <br>당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이렇게 당헌 해석이 갈릴 때 최종 결정도 최고위에서 한다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결국 정책위의장 1명 누가 가져가느냐로 진통을 벌일 수밖에 없는 겁니다. <br><br>Q4. 그럼 대통령실 반응은 어떻습니까? <br><br>당정 갈등으로 비춰지는 모든 일이 용산 입장에서는 현재 부담스럽습니다. <br> <br>말을 아낀다는 건데, 그럼에도 내부적으로는 불편한 기류가 있기도 합니다. <br><br>대통령실 한 관계자, "만찬 초대하고 당대표 외롭지 않게 하라는 말까지 나온 마당에 돌아오는 게 정책위의장 교체라면 어떻게 생각하겠나" 라고 되묻더라고요.<br> <br>물밑에서 최대한 한 대표 측과 조율을 해보려는 분위기도 엿보입니다. <br><br>Q5. 이런 분위기 속에서 실제로 정책위의장 교체 착수하려면, 상당한 잡음이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<br>친윤계 의원들 상당한 반발도 예상이 돼서요. <br> <br>뭐 벌써부터 쉽지 않을 거란 메시지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한 친윤계 의원, 저에게 "당 대표는 원내 상황 말고 국민을 바라봐야 한다, 정점식 의장 평이 좋아 바꾸려면 좋은 소리 안 나올 것" 이라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새 정책위의장 임명하려면 추 원내대표와도 협의하고, 의총에서 추인도 받아야 하는데, 한 대표 뜻대로 되기 쉽지 않다는 겁니다. <br> <br>다만 인선을 마냥 늦출 수도 없는 게 새 지도부입니다. <br> <br>한 대표의 선택에 따라 당정관계 상황이 많이 달라질 수 있고, 또 그 선택이 임박한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이세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세진 기자 jinlee@ichannela.com